2025년 종합소득세 신고 방법 A to Z! 신고 방법부터 세율, 대상자, 기간, 계산기, 환급까지 한눈에 정리했습니다.
5월은 종합소득세의 달!
2024년에 소득이 있었다면, 2025년 5월에 꼭 종합소득세 신고를 해야 합니다.
이 글 하나면 처음 하시는 분도 쉽고 정확하게 신고할 수 있어요.
목차
- ✅ 종합소득세란?
- 👥 종합소득세 신고대상 누구일까?
- 🗓️ 2025년 신고기간 안내
- 💻 종합소득세 신고방법 4가지
- 📈 2024년 귀속 종합소득세 세율표
- 🧮 홈택스 계산기 사용법
- 💰 종합소득세 환급 vs 추가 납부
- ❓ 자주 묻는 질문 (Q&A)
- 🔗 함께 보면 좋은 링크
👥 종합소득세 신고대상 누구일까?
다음 중 하나라도 해당한다면 종합소득세 신고는 필수입니다!
항목 | 조건 | 신고 여부 |
사업소득 | 부동산 임대, 창업 등 사업소득 발생 | ✅ 신고 대상 |
프리랜서 소득 | 3.3% 원천징수 받은 경우 | ✅ 신고 대상 |
기타소득 | 강연료·원고료 등 연 300만 원 초과 | ✅ 신고 대상 |
금융소득 | 연 2천만 원 초과 | ✅ 신고 대상 |
사적연금 | 연 1,500만 원 초과 | ✅ 신고 대상 |
근로소득 | 2개 이상 근무처 & 연말정산 누락 | ✅ 신고 대상 |
📌 사업자등록 여부와 관계없이 사업·프리랜서 소득이 발생했다면 신고 대상입니다.
특히 부동산 임대소득이 있는 분도 예외가 아닙니다.
🗓️ 2025년 종합소득세 신고기간
구분 | 기간 |
일반 신고자 | 2025년 5월 1일 ~ 6월 2일 |
성실신고확인서 제출자 | 2025년 6월 30일까지 |
※ 신고 마감일이 주말·공휴일인 경우 다음 평일까지 연장됩니다.
💻 종합소득세 신고방법 4가지
종소세는 다음 네 가지 방법 중 편한 방식으로 신고하실 수 있습니다.
1. 홈택스 PC 전자신고
컴퓨터를 통해 홈택스에 접속하셔서 전자신고를 진행하실 수 있습니다.
2. 손택스(모바일 앱) 신고
→ 국세청 '손택스' 앱을 설치하신 후, 모바일로 간편하게 신고 가능합니다.
3. 세무사 대행 신고
→ 장부 작성이나 세무 계산이 복잡한 경우에는 세무 전문가에게 대행을 맡기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.
4. 서면신고
→ 국세청 홈페이지에서 신고서 양식을 내려받아 우편으로 제출하거나 세무서를 방문합니다.
📝 참고로, 홈택스와 위택스를 실시간 연동하는 '원클릭 전자신고시스템'을 통해 종소세와 지방세를 한 번에 편리하게 신고하실 수 있습니다.
📈 2024년 귀속 종합소득세 세율표
과세표준 | 세율 | 누진공제 |
1,400만 원 이하 | 6% | - |
1,400만~5천만 원 | 15% | 1,260,000원 |
5천만~8,800만 원 | 24% | 5,760,000원 |
8,800만~1억5천만 원 | 35% | 15,440,000원 |
1.5억~3억 | 38% | 19,940,000원 |
3억~5억 원 | 40% | 25,940.000원 |
5억~10억 원 | 42% | 35,940.000원 |
10억 원 초과 | 45% | 65,940,000원 |
📌 예시 계산:
과세표준 3천만 원일 경우 → 30,000,000 × 15% - 1,260,000 = 3,240,000원
🧮 홈택스 종합소득세 계산기 사용법
홈택스 계산기를 이용하시면 예상 세액과 환급 여부를 간편하게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- 홈택스에 접속하여 로그인합니다.
- 상단 메뉴에서 "모두채움 신고서"를 클릭합니다.
- 소득 항목을 입력하시면 납부하실 세액이 자동으로 계산됩니다.
- 환급 대상 여부도 함께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👉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직관적인 계산기이므로, 신고 기간 내에 꼭 한 번 활용해 보시길 추천드립니다!
💰 종합소득세 환급 vs 추가 납부
항목 | 의미 | 처리 방법 |
환급 | 이미 낸 세금이 실제 세금보다 많을 때 | 홈택스에서 환급 계좌 입력 |
추가 납부 | 더 내야 할 세금이 있는 경우 | 홈택스, 카드로택스 등 납부 가능 |
❓ 자주 묻는 질문 (Q&A)
Q1. 종합소득세 신고를 하지 않으면 어떻게 되나요?
신고를 하지 않을 경우, 다음과 같은 가산세가 부과됩니다.
- 무신고 가산세: 미납 세액의 최대 20%
- 납부지연 가산세: 하루당 0.022%씩 추가 부과
💥 신고를 누락하면 수십만 원에서 수백만 원까지의 벌금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기한 내에 신고하시길 권장드립니다.
Q2. 절세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?
네, 다음과 같은 절세 전략을 활용하시면 도움이 됩니다.
- 간편장부 또는 복식부기를 작성해 경비를 공제받으세요.
- 인적공제, 의료비, 교육비 등 세액공제 항목을 꼼꼼히 챙기세요.
- 일정 기준 이상의 사업자는 성실신고확인서 제출 시 추가 세액공제 혜택도 받을 수 있습니다.
※ 장부를 작성하지 않으면 공제 혜택이 제한되고, 추가 가산세가 부과될 수 있으니 유의해주세요.
Q3. 환급은 언제 받을 수 있나요?
보통 신고 후 2~3주 이내에 환급금이 입금됩니다.
홈택스에 로그인하신 후, '환급금 조회' 메뉴에서 진행 상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🔗 함께 보면 좋은 링크
'이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K 유심보호서비스 가입방법과 꼭 필요한 이유 (0) | 2025.04.26 |
---|---|
K-원패스 하나로 전국 대중교통 무제한! 월 6만 원 교통 혁신 (0) | 2025.04.26 |
소상공인 배달택배비 지원, 이렇게 하면 30만 원 받습니다! (0) | 2025.04.24 |
콘클라베 뜻 – 교황 선출의 비밀 회의, 쉽게 풀어보기 (0) | 2025.04.24 |
관세 뜻과 종류 한눈에 보기 (0) | 2025.04.23 |
댓글